국회 청소년정책토론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nick4 댓글 0건 조회 38회 작성일 25-08-04 14:44

본문

전국서모인청소년지도자1천명"진짜청소년정책합시다"

청소년 관련 8개 단체, '국민주권정부 시대, 이제부터 진짜 청소년정책을 세우다' 국회청소년정책 토론회 개최 "이제부터 진짜 청소년정책을 세웁시다"

8월이 접어든 첫날 국회에서 1천여명에 달하는 전국의 청소년지도사와 청소년상담사가 모여 새 정부에 바라는 청소년정책 수립에 대해 제안하고 처우 개선을 건의하는 대규모 토론회가 열렸다.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와 한국청소년지도사협회, 한국청소년상담복지센터협의회등 청소년 관련 8개 단체는 8월 1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2층 대회의실에서 '국민주권정부 시대, 이제부터 진짜 청소년정책을 세우다'를 주제로 새 정부 새로운 청소년정책 수립을 위한 국회청소년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김남근, 김한규, 서영교, 정을호 등 10명의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조국혁신당 강경숙, 정춘생, 백선희 의원,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 민생경제연구소도 공동 주최로 이들과 함께 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전남, 경남, 광주, 목포 등 지역을 망라해 전국에서 많은 청소년지도자들이 일찍부터 서울로 상경해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우원식 국회의장 "성평등가족청소년부 명칭 찬성한다"
토론회에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해 이들을 응원했다. 우 의장은 "제가 사회를 변화시켜야 하겠다 라고 생각한 것이 청소년 시기였고 지금도 그렇게 살고 있다. 그 시절에는 청소년정책이 없었고 지금도 없다고 생각한다. 청소년은 투표권이 없어 국가 정책에 있어서 무시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우리 미래와 직결된 문제이기에 새 정부에서 청소년정책을 제대로 만들어야 한다. 저도 부처 명칭에 청소년을 넣는 것 찬성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은 "1990년도에 체육청소년부가 만들어졌는데 1993년에 없어졌다. 부처 명칭이 중요하다. 새로운 성평등가족부에 청소년을 넣어 성평등가족청소년부로 명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러분들이 도와줘야 한다"고 말해 박수를 받았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김 의원은 지난달 여가부 명칭을 성평등가족청소년부로 변경하고 아동 관련 사무를 보건복지부에서 이관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

김남근 의원도 부처 명칭에 청소년을 넣은 것에 찬성했다. 김 의원은 "청소년정책을 복지정책 중 하나라고 보거나 여성정책에 딸려 있는 정책쯤으로 보는 시각이 바뀌어야 할것 같다. 청소년정책이 제대로 되려면 청소년지도자가 중요한데 처우가 낮다고 들었다. 이런 부분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일남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회장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은 안녕한가
"기조강연에 나선 권일남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회장(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교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은 안녕한가"로 화두를 던졌다. 권 회장은 특히 청소년지도자의 양성과 처우 개선 등에 대한 구체적 방향을 강조했다.
권 회장은 ▲ 청소년지도사 역할의 명료화 및 전문화 추구 ▲ 청소년지도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및 개선 ▲ 청소년지도사처우에 대한 대상과 범주의 명료화 ▲ 청소년지도사 업무환경 개선 ▲ 청소년활동의 학교연계정책의 제도화 추구 ▲ 청소년육성전담▲ 우원식 국회의장이 청소년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성평등가족부에 청소년을 넣은 것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 이번 토론회에서는 새로운 청소년정책 수립을 위해 정부 조직 개편과 청소년지도자 처우 개선에 대한 각계의 통일된 주장이 나왔다.
공무원 직렬영역 확립 ▲ 청소년지도사 양성체계의 고도화 실현 ▲ 청소년배치지도사 낮은 기준 정상화가 필요함을 세부 사례를 들어 강조했다.

'한국 청소년상담 정책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두번째 기조강연에 나선 김형수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교수는 "수용은 증가하고 있는데 그것을 떠빋치고 있는 지원 인력은 과중한 상태다. 청소년 대부분 분야가 그럴 것이다. 동종 직종에서 처우가 낮고 고용이 불안정하고 이직율이 높아지니까 지원의 연속성과 지원 인력의 역량이 강화되면서 유지되는 것이 잘 안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전국 240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설치되어 있는데 운영 자체는 굉장히 어렵다. 전체 직원의 60%가 비정규직"이라며 "한국의 청소년상담사는경력이 쌓일수록격차가 더 커진다. 처우는 더 나빠진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 장기적으로 아동·청소년·청년부 신설을 검토하고 다른 부처의 청소년 정책을 총괄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부여해 전문성과 연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조강연에 따른 종합토론도 이어졌다. 토론자로는 김진명 경기도의회 의원, 김동준 충북청소년상담복지센터장, 허정 한국청소년연맹 본부장, 최성근 한국청소년복지시설협회장, 김경훈 전 청소년특별회의 부의장(부산대학교 2학년), 박성혜 숙명여자대학교심리치료대학원 교수, 김민아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정이 나와 각 분야에서 바라보는 청소년정책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보도자료:
- http://www.newssunday.co.kr/news/view.php?no=236631
-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15357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